[문제점]
카카오 API 사용이 안되는 문제가 생겼다.
[원인]
localhost or 127.0.0.1 에대한 IP가 적용되지 않는것 이었다.
즉 , localhost로 카카오 api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것이다.
[ A방법으로 해결 ]
cmd의 ipconfig를 통해 Iv4의 IP를 확인하여
해당 IP를 api를 사용할 IP에 적용하여 해결하였다
( ↓ 의 사이트 도메인에 Iv4 의 IP를 등록하였다)
[ A방법 문제점 ]
하지만 DHCP의 IP가변적할당을 이유로 IP가바뀔때마다 API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.
[ B방법으로 해결 ]
고정된 IP주소가 필요하였고 대안으로는
공인IP 또는 사설IP가 필요했다.
사설 IP를 생성후 API를 사용할 IP에 적용하여 해결하였다.
vscode liveServer 기준으로 127.0.0.1 or localhost의 적용이 되지않아 이유를 찾지못해
사설Ip를 적용하게 됐다
[ 사실 IP를 생성 하는 방법 ]
1) 관리자권한으로 pwoerShell 실행
2) - DHPC의 동적IP와 공존을 enable(허용) 하기
netsh interface ip set interface interface="어댑터 이름"
dhcpstaticipcoexistence=enabledhcpstaticip coexistence 입력
( ↓ cmd에서 ipconfig명령어를 통해 어댑터 이름 확인 가능 )
3) - 사설 IP 생성하기
netsh interface ip add address "Ethernet" 192.168.200.202 255.255.255.0
=> [Ethehrnet] 이라는 이름으로 [ 192.168.200.202 255.255.255.0 ] 생성
사설IP 공인IP란?